JavaScript와 Node.js 생태계에서 패키지 매니저는 개발 생산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Bun이란 무엇인지, 다른 패키지 매니저와의 차이점, 그리고 프로젝트에 Bun을 적용하는 방법까지 알아보겠습니다.
프론트엔드·백엔드 프로젝트에서 패키지 매니저는 의존성(dependency) 관리와 스크립트 실행을 돕는 도구입니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Node.js 진영에서는 npm이 사실상 표준처럼 쓰여 왔고, 이후 속도와 편의성을 개선한 Yarn, pnpm, 그리고 최근 등장한 Bun까지 다양한 선택지가 생겼습니다.
yarn.lock을 통한 정확한 버전 고정 가능bun install 시 npm 대비 20배 이상 빠른 설치 속도 제공Bun은 단순한 패키지 매니저를 넘어, 개발 환경의 여러 요소를 하나로 묶은 올인원(All-in-one) 도구입니다.
| 항목 | npm | yarn | pnpm | bun |
|---|---|---|---|---|
| 설치 속도 | 느림 | 보통 | 빠름 | 매우 빠름 |
| 디스크 절약 | 낮음 | 보통 | 높음 | 보통 |
| 올인원 기능 | ❌ | ❌ | ❌ | ⭕ |
| Node.js 호환성 | ⭕ | ⭕ | ⭕ | ⭕ |
| 번들러 내장 | ❌ | ❌ | ❌ | ⭕ |
| 테스트 러너 내장 | ❌ | ❌ | ❌ | ⭕ |
Bun의 핵심 장점
bun i, bun run)Bun 설치는 운영체제별로 조금씩 다르지만, 공식 설치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curl -fsSL https://bun.sh/install | bashpowershell -c "irm bun.sh/install.ps1 | iex"설치가 끝나면 버전을 확인합니다.
bun --versioncd my-project
bun installpackage-lock.json 또는 yarn.lock을 자동으로 읽어 변환합니다.
bun initpackage.json 생성과 동시에 Bun 전용 설정을 적용합니다.
bun run dev
bun run build
bun run testnpm, yarn과 동일하게 package.json의 스크립트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Bun은 단순한 패키지 매니저를 넘어, 프론트엔드·백엔드 개발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차세대 개발 도구입니다.
속도와 올인원 환경 덕분에 개인 프로젝트뿐만 아니라 스타트업, 대규모 서비스에서도 점점 채택이 늘고 있습니다.
이 링크를 통해 구매하시면 제가 수익을 받을 수 있어요. 🤗